"그 제품의 가치에는 거품이 껴있다"
"주식의 현재 주가는 거품이 가득 껴있다"
"A 선수의 실력은 거품이다"
평상시 어떠한 것을 평가할 때 정말 쉽게 나오는 말 '거품'. 이것은 주로 본래의 모습에 손으로 휘적휘적 몇 번이면 날아갈 수 있는 아무 의미 없는 거품이 붙어서 더 크게 보인다는 뜻으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곤 합니다. 사람들은 그 거품을 쉽게 찾아내고 걷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생각보다 그것을 알아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고 역사는 이야기합니다. 오늘은 세계 최초의 버블 현상으로 알려지고 있는 네덜란드의 튤립 버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튤립 파동(tulip mania)' 또는 '튤립 버블(tulip bubble)' 이 단어는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시작된 것으로 역사상 최초의 자본주의적 투기 즉 버블 현상으로 알려지고 있는데요. 그 당시 네덜란드는 1600년대 초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작물 산업의 호황 그리고 남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등 방대한 식민지 건설로 엄청난 황금기를 맞이하고 있었기에 국민들에게는 여유와 사치가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 시점에 식물 애호가들 사이에서 튤립에 대한 인기가 늘어나기 시작하는데요. 튤립은 단기간에 늘리기 어려운 품종으로 돈을 주더라도 얻을 수가 없는 즉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런 튤립에 아름다움에 빠진 애호가들은 품종개량과 재배를 통해서 다양한 종류의 튤립을 만들어서 고가에 거래를 했고 이것은 곧 다른 투자자들과 일반인들에게도 소문이 나기 시작합니다.
튤립이 막대한 돈을 벌어준다는 이야기에 사람들은 자신의 밑천을 다 튤립 구근을 사며 어떠한 사람은 빚을 내고 구근을 사기 시작했고 튤립의 가격은 점점 더 상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폭등의 상황을 보여주는 유명한 일화로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영국에서 온 식물 애호가가 네덜란드의 친구 집을 찾아갔다. 그 애호가는 보기 드문 양파 같은 것을 발견하고 그 껍질을 벗겨 속을 열어 보았다. 친구가 돌아오자 "이것이 무슨 양파죠?"라고 물었다. "데르 아이크 제독이라고 하는 겁니다", "감사합니다" 애호가는 노트에 필기까지 해가며 계속 물었다. "이게 네덜란드에 흔한 건가요?" 그러자 친구는 애호가의 목덜미를 잡고 "함께 행정관에게 가보면 압니다"라고 대답했다. 애호가는 금화 2000개의 배상금을 지불할 때까지 채무자의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튤립의 가격은 약 1억 6천만 원 지금으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금액이었지요. 문제는 단순히 가격이 오른 것만이 아니었는데 꽃은 한순간에 피어나는 것이 아니며 희귀한 품종은 구근인 상태로는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사람들은 선물거래 형식으로 거래를 했습니다. 돈을 지불하고 꽃이 피면 실물을 전달하며 그 과정에는 어음이 껴있기도 했습니다.
터져버린 거품
1637년 튤립의 버블이 터지기 시작합니다. 튤립의 가격이 폭락하기 시작하며 어음이 부도가 나고 채무자들이 증가하기 시작합니다. 가격 폭락의 원인은 사람들이 비이상적인 가격에 소비욕구가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실소유자 즉 튤립을 진정으로 원하는 사람들은 줄어들고 투기를 위해 소유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가격은 형성이 되지만 정작 튤립이 팔리지 않는 상황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또한 튤립의 재배 증가로 인해서 많은 공급이 생기고 가치가 떨어집니다. 수많은 채무자와 채권자들이 소송에 휩싸였지만 결국 법원에서 튤립의 재산적 가치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계약은 무효화가 되고 수많은 벼락 거지와 부자를 만들며 끝이 납니다.
시간이 흐르고 시대가 바뀌어도 거품의 역사는 계속되어 오고 있습니다. 부동산 버블, IT버블 등 역사적으로 크게 이름 남긴 이야기들도 있고 우리가 흔히 접하는 주식 시장에서도 언제나 생기고 있지요. 금융 시장에서 어떠한 자산의 가격이 투기에 의해 내재가치를 넘어서는 현상을 보며 거품 경제라고 합니다. 이러한 거품 속에서 헤매지 않도록 금융 지식과 되풀이되어오는 역사를 공부하며 냉정 해지는 방법을 익혀야 할 것 같습니다.
'경제, 금융 > 주식,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 채권이란 무엇일까? 채권투자 기본정리 (0) | 2021.08.22 |
---|---|
생산가능곡선(PPF, PPC) 기본 개념 설명 (0) | 2020.10.13 |
기회비용 이란 무엇인가? - 경제학 기본 (0) | 2020.10.10 |
재무상태표 (대차대조표)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의 기본 설명 - 재무제표 기본 (0) | 2020.10.07 |
재무회계(Financial accounting)와 관리회계(Management accounting) (0) | 2020.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