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should, might, could, would 회화에 도움이 되는 조동사 정리 (가정법 과거완료)

by 들레민 2020. 7. 21.

should, might, could, would 같은 조동사들이 과거완료로 사용될 때에는 단순히 과거를 뜻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석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인 해석은 이렇게 됩니다.

1. should

should : 해야한다 (권유)

should not :  하면 안 된다 (권유)

 

예를 들면 You should buy the book (너는 그 책을 사야 한다), You shouldn't go to the gym (너는 헬스장을 가면 안된다)

 

가정법 과거완료로 사용하면

should have pp : 했어야 했는데 (안했다) - 후회

should not have pp :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했다) - 후회

 

예시 - I shouldn't have bought that book (그 책을 사지 말았어야 했는데) 즉, 샀다는 것을 뜻함

 

2. mightmight : 일지도 모른다 (추측)might not : 아닐지도 모른다 (추측)

 

예시 - I might be upset about his behaviour (나 그의 행동 때문에 화가 날지도 몰라)

 

might have pp : 했을지도 몰라 (안했다)

might not have pp : 하지 않았을지도 몰라 (했다)

 

반응형

 

예시 - I might have been mad at him (나 그에게 화를 냈을지도 몰라) - 즉, 안 했다는 것을 뜻합니다.

 

3. could는 can의 과거의 의미보다는 격식이나 좀 더 완곡한 표현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could : 할 수 있다.could not : 할 수 없다.

 

예시 - I could go to the library 나는 도서관에 갈 수 있습니다.

 

could have pp : 할 수 있었을지도 몰라 (못했다)

could not have pp : 할 수 없었을지도 몰라 (했다)

 

예시 - I could have gone to the library (나는 도서관에 갈 수 있었을지도 몰라) - 그러나 못했다

 

4. would would : 할 것이다.would not : 하지 않을 것이다.

 

예시 - I would go to the library (나 도서관에 갈 거예요)

 

would have pp : 했을 텐데 (안 했다)

would not have pp : 하지 않았을 텐데 (했다)

 

예시 -  I would have gone to the library (나 도서관에 갔었을 텐데) - 즉, 가지 않았다

 

가정법 과거완료 표현은 not 이 있을 때는 했다 라는 뜻이 되고 not 이 없을 때에는 못/안 했다 의 뜻이 됩니다.

헷갈리지만 아주 유용한 표현인 거 같아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