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주식, 경제 이야기

주식용어 정리 PBR 과 BPS 알아보기

by 들레민 2020. 9. 26.

BPS는 Book value per share의 약자로 주당 순자산가치입니다. 즉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것입니다.

* 단위 : 억원, %, 배, 주

 

364,400,000,000 - 108,000,000,000) / 90,500,234

 

이런 식으로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고 그것을 발행주식수로 나누면 BPS의 값이 나옵니다. 기업의 자산을 모든 주주에게 나누어줄 경우에 1주당 2777원의 가격을 얻을 수 있다고 이해하면 더 쉬울 거 같습니다.

 

다음으로는 PBR인데요. 이것은 Price Book value Ratio의 약자로 주가순자산비율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주가를 1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입니다. 즉 순자산에 비해 주당 가격이 몇 배로 측정되어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주가÷ 1주당 순자산이 PBR입니다. 그런데 위의 BPS가 1주당 순자산가치를 알려주기 때문에 간단하게 주가를 BPS로 나눈면 PBR 값을 알 수 있지요. 위의 표의 주식의 주가는 6040원이고 BPS는 3511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PER은 1.72가 나옵니다.

 

PBR은 비율을 알려주는 지표로서 1이면 주가와 기업을 팔았을때 의 가치가 같다는 뜻입니다. 1보다 낮으면 주가가 기업을 청산했을 때의 가치보다 낮다는 이야기이지요. 

 

PBR 또한 같은 업종의 종목들과 비교해서 봐야하는 지표입니다. 그리고 PBR은 기업에서 발생하는 미수금이나 당장 기록하기 어려운 현금화 불가능 품목 등 때문에 같은 시차에서의 계산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정확한 값이 안 나올 수 있지요. 다른 지표들과 함께 참고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